저는 지난 1월부터 약 8개월간 싱가폴의 SMART center에서 microrheology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돌아왔습니다. 파견 기간 동안 배운 점, 느낀 점 등을 글로 남겨보려고 합니다.

 

1. SMART 연구소 소개

 

SMART center는 싱가폴국립대학(NUS) 안에 위치한 연구소로 미국의 MIT와 싱가폴 국립대학의 자매결연으로 설립되었습니다. SMART center는 약 25명의 MIT 교수님들이 관련분야의 NUS대학의 교수님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저는 MIT의 팻도일 교수님의 그룹으로 파견되었고 NUS대학의 요한 교수님의 협력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SMART center안에 있는 팻교수님 그룹은 저를 제외하고는 포닥만 4명이 있었습니다. MIT에서는 biophysics, microfluidics, microrheology 등등 몇 개의 세부분야로 나뉘어져 있는 것에 비해 싱가폴에서는 biophysics 분야에만 주력하고 계셨습니다.

 

2. 연구 내용

 

1) PTM 장비 set-up 및 기초 공부 (1~2)

- CCD카메라와 현미경을 최적화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장비 set-up

- 팻교수님 그룹, 요한 교수님 그룹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드를 익히고 우리방에서 사용하는 코드와 비교

2) DNA solutionviscoelasticity (3~4)

- 전통적인 polymer solution에 대한 연구 방법론에 PTM을 적용하여 DNA dynamics 해석

- DNA topology (linear/circular)에 따른 viscoelastic bahavior 비교

3) DNA solutiongelation (5~8)

- Microrheology를 이용한 DNA gel 구조 정량화 (Winter, JOR, 1987)

 

가시적인 성과는 주로 3) DNA solution gelation에서 나왔지만 제가 무엇보다도 귀중히 생각하는 것은 파견 초반에 PTM 장비를 셋업하면서 고군분투한 경험입니다. 카메라와 현미경을 붙잡고 몇날 며칠을 씨름하고, 직접 현미경 부품을 하나하나 뜯어보고, 업체 사람들과도 수차례 만나 질문하면서 배웠던 것들은 이번 파견 기간 동안 제가 얻은 가장 소중한 경험일 것입니다. 기본적인 장비가 셋업된 후에도 DI water viscosity를 반복하여 측정하고 분석하면서 PTM의 기초에 대해서 배웠던 것이 생각납니다. 솔직히 2월로 넘어갈 즈음에는 물 점도만 계속 쟤고 있으려니 마음이 초조하기도 하고 이러다 진짜연구는 언제 하나..하는 조바심이 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와서 보니 제가 얻은 진짜알짜배기는 초반에 배운 PTM의 기초라는 생각이 듭니다.

도일교수님이 어느날 말씀하시더라구요…PTM은 현미경과 카메라만 있으면 쉽게 시작할 수 있다. 관련 code도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tutorial도 자세히 나와 있다. 그런데 이렇게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너무나 깊은 고민없이 실험만 해대고 쓰레기(garbage)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있다구요.. PTM은 옳건 그르건 데이터는 그럴듯하게 나오기 마련이기 때문에 bias된 데이터를 취할 위험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럴수록 내가 보고자 하는 system PTM으로 characterize할 수 있는 window안에 있는가를 명확히 하고 실험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3. 싱가폴 생활기

 

- 고온다습한 날씨

싱가폴은 서울만한 크기의 도시국가로 싱글 직장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무리 없이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시스템이었습니다. 다만 찌는 듯한 더위를 이겨내는 것이 큰 관건이었습니다. 연구소의 출퇴근 시간은 비교적 자유로웠지만 해가 뜨면 더워지기 때문에 되도록 되도록 일찍 출근하는 습관을 들여야 했습니다. 더불어 습한 날씨 덕에 아무리 부지런히 청소를 해도 보송보송 자라나는 곰팡이랑 생전 처음 보는 동물들 - 도마뱀, , 알록달록 파충류 등 때문에 재미있는 해프닝도 많았습니다.

 

- 점심 식사

총인원 5명의 소규모 실험실에 있었던 덕에 짧은 시간이지만 더욱 알찬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도일 교수님까지 6명이 매일매일 학생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식사 후에는 30분 정도 커피 마시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시간 동안 잡다한 신변 잡기에서부터 시작해서 연구관련 내용까지 온갖 주제를 넘나들며 수다를 떨었습니다. 제게는 이 시간이 하루 중 가장 즐겁고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미팅 때에는 엄격하신 도일 교수님도 이 시간만큼은 한없이 친근한 옆집 아저씨 같은 모습으로 함께하셨습니다.

 

- 개별미팅

파견 초반에 PTM의 기초를 배우면서 교수님이랑 정말 많은 시간을 함께했습니다. 교수님께서 직접 현미경을 다루시면서 실험을 가르쳐주셨던 적도 있습니다. 그땐 너무나 황송해서 바짝 긴장해 있던 기억이 납니다. 초반에는 교수님과 영어로 미팅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긴장이 많이 되었지만 교수님께서 영어보다는 제 말의 의도에만 집중해 주셔서 마음 편하게 미팅할 수 있었습니다. 일개 석사과정 학생인 저한테 이렇게나 시간을 많이 내어 주시고 배려해 주신 도일교수님께 정말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 그룹미팅

일주일에 한번씩 요한 교수님 그룹과의 조인트 그룹미팅이 있었습니다. 특별히 순서가 정해진것은 아니고 각자 발표할 것이 있으면 자발적으로 간단하게 발표하는 형식으로 그룹미팅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미팅 중에는 주로 교수님들하고만 디스커션을 하고 다른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만 있더군요. 우리 그룹의 세미나처럼 서로 활발히 토론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다른 그룹에 파견나가 있다보니 우리 그룹의 장점을 크게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은 바로 선후배들 간의 협력 연구입니다. 그룹세미나에서 서로서로 코멘트해주고 논문스터디 등을 통해 함께 공부해 가며 얻는 시너지 효과가 참 대단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4. 아쉬운 점

 

초반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동안 시간이 훌쩍 가버리고, 어느 정도 적응이 되니까 시간이 물 흐르듯 가버리는 것 같습니다. 또 한국과는 시스템이 달라서 예상하지 못한 일들이 뒤통수를 치기도 하더군요. 예를 들어 부품이나 시약을 주문할 때에 배송시간이 정말 오래 걸리더라구요. 저의 경우도 주문한 시약이 배송되지 않아 실험 초반에 시간이 많이 지체되었습니다. 6개월, 혹은 1년 이란 시간이 한 개의 프로젝트를 마무리 짓기에 결코 충분한 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한 대화를 통해 프로젝트 주제와 방향에 대해 명확히 정하고 가야 소중한 파견 생활을 더욱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중에도 서로 의견 조율을 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도일교수님은 싱가폴 연구실에서 주로 바이오 분야에 집중하여 연구를 하고 계시고 요한교수님 역시 기존에 바이오 분야 연구를 하고 계셨기 때문에 연구가 진행될수록 바이오 쪽에 치중하여 현상을 해석하고 싶어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바이오에 관한 내용은 최소한으로 하며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고 싶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마찰이 많았습니다.

 

5. 마치며

 

이번 파견의 경우 연구분야가 전혀 다른 bio 관련 분야였다는 것, 실험실 셋업이 완성되지 않은 초기 랩이었다는 것, 인원수 6명의 소규모 그룹이라는 것 등등 전혀 다른 환경에서 지내고 와서 저를 더욱 단련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 같습니다. 감사드릴 분들이 너무나 많지만 제게 이렇게 소중한 기회를 주신 안교수님께 가장 큰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